게이미피케이션1 게임의 확장 증대된 가상현실 가능성과 한계 폰드스미스는 게임에 대한 언급을 덧붙여서 이렇게도 말한다.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이 처음에는 게임 안의 빛나는 무기와 사이버네틱 기술에 매료될 것이지만 점점 더 깊은 사회 경제적, 정치적 주제에 참여하게 될 것이다." 게임의 정치성 자체를 놓고 보자면, 바람직하지 못한 지배와 억압의 정치와도 연류되지 않으리라는 법이 없다. 물론 지배 이데올로기는 스스로를 당연한 것으로 현상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지배 이데올로기의 작동을 의식하지 못하고 지극히 자연적인 것으로 여기지만 말이다. 게임이라는 매체가 발본적으로 요구하는 특징 중 하나인 (게임적) ‘몰입’과 ‘유희’는 일찍이 사회학자 서동진이 분석한 것처럼 신자유주의적 시공의 훌륭한 훈육의 논리가 되기도 한다. 또한 게임은 문화 연구자 마크 피셔가 좋지 못한 오.. 2020. 3.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