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3 기록 시스템 1800.1900_프리드리히 키틀러_윤원화 역_문학동네 목차 I 1800 학자의 비극. 무대의 서막 파우스트식 도서 사용법 · 해석학으로서의 성서 번역 · 시와 철학 · 성서를 대신한 교양국가 · 시, 악마의 계약, 국가공무 어머니의 입 1800년경의 읽기 공부 어머니들을 위한 기초독본 · 박애주의자들의 알파벳 학습 · 슈테파니의 음성학적 읽기 교습법 · 표준 독일어 · 헤르더의 언어인류학과 ‘아아’ 하는 한숨 · 1800년경 음악과 언어의 기본요소들 · 기초독본이라는 언어의 시작 · 어머니의 읽기 교육을 기억할 가능성 모성과 공무원 조직 어머니들을 위한 페스탈로치의 교육학 · 국가적 모성 · 교사의 공무원화 · 고등교육제도에서의 남성과 여성 · 철학과 여성들에 대한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생각 언어 채널들 번역 불가능성 일반적 등가물의 의미 · 노발리스. 번역.. 2020. 3. 10. "새로운" 무의식 - 정신분석에서 뇌과학으로_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_김명남 역_까치_2012 목차 서문 1 _ 두 층위로 구성된 뇌 1 새로운 무의식 2 감각 더하기 마음이 곧 현실 3 기억과 망각 4 사회성의 중요성 2 _ 사회적 무의식 5 사람의 마음 읽기 6 사람을 외모로 판단하기 7 사람과 사물을 분류하기 8 내집단과 외집단 9 감정 10 자기 자신 감사의 글 주 역자 후기 인명 색인 이 책은 겉으로 드러난 마음 아래에서 작동하는 놀랍고 낯선 힘들 즉 무의식을 탐구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무의식적 본능들이 보통 자발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으로 여겨지는 일상의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2020. 2. 21.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_피터 브룩스_박인성_문학과지성사_2017 목차 1장 정신분석 비평의 이념 2장 여백에서 발생하는 변화: 구성, 전이, 그리고 내러티브 3장 이야기꾼 4장 내러티브의 구성: 피터 브룩스와의 대담 피터 브룩스의 저작들(1963~93년) 옮긴이 후기 "정신분석 개념들은 대부분 필연적으로 제국주의적이다. 프로이트의 작업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기호이며, 모든 기호는 해석 가능한 주체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기호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궁극적으로 우리 모두에게 동일한 등장인물과 동일한 내러티브 기능을 포함하는 이야기다. ... 포스트구조주의 버전의 정신분석 비평은 불명예스러운 전통이 빠진 난국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시도다." (p.42) "정신활동은 현재의 인상에 밀착되어 있는데, 이 현재의 인상이란 개인이 품고 있는 어떤 큰 욕망을 일깨.. 2020.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