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6 critique d'art12

움직이는 이미지들(Images that Move) - 아비 바르부르크 (2019, Kerstin Schankweiler and Phiipp Wüschner) I. Introduction Visuality and 'the visual' are increasingly critical to understanding the role of affects and emotions that resonate within any given society. (...) This essay champions Aby Warburg (1866-1929) as an especially relevant resource for understanding affectivity in a visual context. Warburg's particular approach can facilitate the meth.. 2021. 6. 4.
한스 하케와 피에르 부르디외 대담(free exchange) (1995) 목차 기획자 노트 한스 하케의 작업 목록 서론 Helmsboro Country Sponsors who know the tune Creating a sensation Real simulacra The crusaders of "high culture" Defense of the West and the return of absolutism In the state's noose A politics of form Plain speaking Helmsboro Country PB: you have a truly remarkable "eye" for seing the particular forms of domination that are exerted on the art world and to which, parado.. 2021. 6. 2.
인격에서 '자아'(I, self)로의 문제 A Category of the human mind: the notion of person; the notion of self Marcel Mauss, 1. 주체: person(personne) 2. 역할(personnage)과 인격의 장소(personne) - 촌락 공동체 - 미국 중서부 - 호주 3. 라틴 페르소나 - 인도 - 중국 4. 페르소나 5. 윤리적 사실로서의 인격(personne) 6. 기독교적 인격(personne) 신교의 자아라는 개념과 자유의지의 문제 7. 심리적 존재로서의 인격(personne) The one who finally gave the answer that every act of consciousness was an act of the 'self' (moi), the on.. 2020. 4. 30.
연극치료에서 역할 연기 접근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_이효원 연극치료에서 역할 연기 접근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_이효원_연극예술치료연구 2_pp.81~118. 이 논문은 연극치료의 접근 방식을 투사적 접근법(projective method)과 역할 연기적 접근법(role play method)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투사적 접근법의 특징을 은유와 상징을 경유하는 우회성과 몸의 언어라 한다면, 역할 연기적 접근법은 역할을 단위로 한 직접성과 입의 언어를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참여자가 실제로 겪은 경험의 단편을 사실적으로 재연하고 거기에 나타난 갈등을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담는 그릇이자 인성의 구성 단위인 역할로 해부함으로써 지나치게 지배적인 역할, 강화해야할 역할, 새로 학습해야 할 역할 등을 찾아 조율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래서 역할 연기적 접근법은 사실적 .. 2020.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