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사회적영향1 예술치료사업? I. 연구배경 불안의 트렌드 현상. 예술치료의 대중화. 힐링은 산업으로까지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분야. 우리나라 예술치료는 1) 의료기관에 소속되어 있지 않음. 민간요법이 성행하였다는 전통적 관습과 연관. 2) 심리학의 영향을 크게 미침. 프로이트의 정신분석과 융의 분석심리학. 실존주의 철학과 심리학은 실존주의 예술치료라는 새로운 분야를 형성. 사이코드라마와 게슈탈트 치료는 연극치료와 가장 유사한 형태. 3) 치유와 치료를 분명히 구분하고자 노력. 2005년 문화체육관광부는 치유적 체험을 강조하는 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논의. '예술강사 사업'. 사회서비스 바우처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2007년부터 예술치료가 빠른 속도로 확산. 학교교육의 재구성의지와 연관 예술표현 - 미에 대한 동경. 인가 욕구의 .. 2020. 3.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