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텍스트성1 정신분석과 이야기 행위_피터 브룩스_박인성_문학과지성사_2017 목차 1장 정신분석 비평의 이념 2장 여백에서 발생하는 변화: 구성, 전이, 그리고 내러티브 3장 이야기꾼 4장 내러티브의 구성: 피터 브룩스와의 대담 피터 브룩스의 저작들(1963~93년) 옮긴이 후기 "정신분석 개념들은 대부분 필연적으로 제국주의적이다. 프로이트의 작업은 눈에 보이는 모든 것이 기호이며, 모든 기호는 해석 가능한 주체라는 점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그러한 기호가 전달하는 메시지는 궁극적으로 우리 모두에게 동일한 등장인물과 동일한 내러티브 기능을 포함하는 이야기다. ... 포스트구조주의 버전의 정신분석 비평은 불명예스러운 전통이 빠진 난국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시도다." (p.42) "정신활동은 현재의 인상에 밀착되어 있는데, 이 현재의 인상이란 개인이 품고 있는 어떤 큰 욕망을 일깨.. 2020.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