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머리말
1부. 의약 지식의 확산과 일상의 질병 관리
1장. 여성의 필수 약재: 경계를 넘나드는 다우기의 세계사
1. 중국 이야기: 전통적인 진통제에서 여성의 필수 약재로
2. 동아시아의 경험: 젠더화된 활용이 흐릿하게 나타난 향약
3. 현대 유럽: 생의학에서 생산된 월경 조절 약
2장. 송대 『이견지』와 일상 속 의학 지식의 확산
1. 일상의 주요 질병: 중독, 종기, 기생충 질환, 설사
2. 의학 지식의 변용과 의서의 한계 극복
3. 임상 서사의 중시와 오진에 대한 경계
4. 일상에서 온, 일상에 필요한 의학 지식
3장. 메이지기 근대적 의약 담론의 성립과 ‘뇌병’의 치료
1. 18~19세기 일본의 서양 의학 수용과 ‘뇌’ 담론의 성립
2. 뇌질환의 등장과 치료제
3. 근대의학의 발전과 뇌병 매약의 변화
2부. 개인의 ‘질병’ 경험과 건강관리
4장. 중세 말 이탈리아에서의 불임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치료
1. 불임에 대한 교회의 인식
2. 불임에 대한 이탈리아 도시민의 인식
3. 불임을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
5장. 중세 말 파리대학의 흑사병 예방법: 치료와 훈육 사이
1. 프랑스에서 집필된 흑사병 보고서들
2. 『전염병 개요』의 구성과 내용
3. 『전염병 개요』의 정치적·사회적 의미
6장. 의료선교사 자녀의 건강, 질병, 그리고 죽음:
로제타 S. 홀의 육아일기를 중심으로
1. 홀 가문의 한국 선교
2. 역사 사료로서의 홀 여사의 육아일기
3. 선교 여정과 아동 건강
4. 아동의 성장 발달과 건강관리
5. 선교지에서의 질병과 죽음의 경험
3부. 국가의 질병 관리와 통제
7장. 식민지기 한센병 환자를 둘러싼 죽음과 생존
1. 한센병으로 인한 가족 관계의 해체: 자살과 살해
2. 생존을 위한 노력과 죽음: 인육 섭취
3. 한센병 환자의 조직화와 한센병 시설에서의 죽음
8장. 식민지 조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조선총독부 체신국의 사례 검증
1. 체신업의 전개와 노동력 구성의 변용
2. 체신 노동자의 건강과 질병
3. 체신당국의 대책: 공제조합과 촉탁의 그리고 체육
9장. 제국의 흔적 지우기: 패전 후 일본에서의 귀환자 검역
1. 제국의 붕괴
2. 귀환자 검역
참고문헌
찾아보기
7장. 식민지기 한센병 환자를 둘러싼 죽음과 생존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05 흡혈귀로서 자본 (0) | 2021.08.05 |
---|---|
기억의조립 (0) | 2021.06.16 |
난파선과 구경꾼_한스 블루멘베르크 (0) | 2021.05.02 |
VITA Life in a Zone of Social Abandonment_João Biehl (0) | 2021.05.01 |
미생물의 폭풍 가운데 블루멘베르크와 함께 좌초되기_니콜라스 랑리츠_2020 (0) | 2021.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