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치료에서 역할 연기 접근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_이효원_연극예술치료연구 2_pp.81~118.
이 논문은 연극치료의 접근 방식을 투사적 접근법(projective method)과 역할 연기적 접근법(role play method)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투사적 접근법의 특징을 은유와 상징을 경유하는 우회성과 몸의 언어라 한다면, 역할 연기적 접근법은 역할을 단위로 한 직접성과 입의 언어를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참여자가 실제로 겪은 경험의 단편을 사실적으로 재연하고 거기에 나타난 갈등을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담는 그릇이자 인성의 구성 단위인 역할로 해부함으로써 지나치게 지배적인 역할, 강화해야할 역할, 새로 학습해야 할 역할 등을 찾아 조율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래서 역할 연기적 접근법은 사실적 재연을 통해 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에 밀착하여 느낄 수 있게 하고, 경험을 극적으로 변형함으로써 역할을 적절하게 재구성하게 해주며, 변형된 역할을 반복 연습함으로써 현실 적응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역할 연기적 접근법은 참여자의 실제 경험을 대상으로 하되 참여자가 최근에 겪고 있는 갈등이나 그와 관련된 과거의 사건을 포함하여 참여자가 꿈꾸거나 두려워하는 미래를 재현하며, 정서적으로는 기쁘고 즐겁고 자랑스러운 감정과 관련된 안전한 경험과 함께 부정적인 감정을 내포한 것 뿐 아니라 정서적 외상 경험까지 부담스럽고 위험한 경험을 두루 다룬다. 그리고 경험을 다룰 때는 대개 그 내용을 사실적으로 재연한 다음 속마음 말하기, 역할 바꾸기, 움직임과 대사 반복하기, 밖에서 바라보기, 지도 그리기, 대안 찾기 등 기법을 활용하여 변형한다.
역할 연기적 접근법을 활용할 때는 집단의 신뢰 정도와 참여자의 투사 능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과 방식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우선 참여자가 자신의 실제 경험을 다루자면 위험을 감수하는 용기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참여자가 자기를 노출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집단이 서로 깊이 신뢰하는 환경이 중요하며, 작업 초반에 정서적으로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경험을 다룸으로써 노출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은유와 상징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참여자에게는 역할 연기 접근법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당면한 문제에 지나치게 밀착해 있거나 상상, 연역, 직감, 예술 등의 감정적 정신 활동에 취약한 좌뇌 중심적 기질을 가진 참여자는 투사적 접근에 취약할 수있다. 그 때는 역할 연기적 접근을 먼저 적용하여 문제와 관련된 감정을 표출하게 함으로써 소거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하면 참여자는 서서의 문제로부터 거리를 두게 되고, 그렇게 확보된 내면의 공간으로 은유와 상징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기질적으로 감정적인 무능력을 보이는 참여자의 경우에도 밀착을 촉진하는 역할 연기 접근법을 충분히 경험하면서 감정과 친숙해지는 것이 필요하다.
연극치료에서 사용하는 극적 언어를 흔히 허구적 접근법fictional method과 심리극적 접근법psychodramatic method으로 나누기도 한다. 하지만 참여자의 경험을 아무리 사실적으로 다룬다고 해도, 그것은 가능한 수많은 현실 가운데 참여자의 기억이라는 필터를 거쳐 특정하게 해석 또는 가공된 것으로서 '허구'의 범주를 벗어나기 어려우며, 그렇게 엄밀한 분류가 아니더라도 심리극적 접근이 다루는 경험이 참여자의 기억 뿐 아니라 상상을 포괄한다는 점에서도 허구와 겹침을 지적할 수 있다.
로버트 랜디 Robert Landy는 둘을 행동심리치료(action psychotherapy)라는 더 큰 이름으로 묶어냄으로써 그동안 말에 의존해온 심리치료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고, 르네 에무나Renee Emunah는 연극치료와 심리극 각각의 특성을 집단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정교하게 교직한 통합 5단계 모델을 제안한 바 있으며, 데이빗 리드 존슨David Read Johnson과 르네 에무나는 다양한 극적 방식의 치료를 '연극치료'라는 이름 아래 취합하면서 심리극을 포함시키고 있다.
- 허구와 현실이라는 이분법의 함정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의 실제 경험을 다루는 경우가 흔히 있지만, 그 배경과 방식에는 심리극 뿐 아니라 자전공연의 연극 전통과 토론 연극forum theater을 비롯한 응용 연극the applied theater 그리고 다양한 심리치료의 영향이 엄연히 함께 간다.
참여자가 자기 아닌 다른 인물이 되어 사는 것이 투사적 접근의 핵심이라면, 역할 연기적 접근의 요체는 참여자가 자기 자신을 벗어나지 않되 대신 자기를 구성하는 여러 역할role을 사는 것이다. 이는 바꿔 말해 밖으로 던져 멀리 두고 볼 것인가 혹은 안으로 파고들어 확대해볼 것인가의 차이라 할 수 있다.
<역할 연기 접근법의 대상>
역할 연기 접근법은 참여자의 경험을 기억과 상상에 근거하여 직접적으로 기술하고 탐험하는 것이다. 그 경험의 시제는 어린 시절의 추억이나 오늘 아침 직장 상사와의 마찰이 될 수도 있고 앞으로 이루고 싶은 꿈일 수도 있다.
1) 시제
(1) 현재: 갈등과 문제 해결 도모
(2) 과거: 초기 기억 회상, '가장 중요한 경험'이나 '나를 변하게 한 사건' 등 다양한 단서.
(3) 미래: 참여자가 꿈꾸거나 두려워하는 잠재적 현실.
2) 정서적 양상
(1) 안전한 것
(2) 위험한 것: 치료는 우리를 두렵고 불안하게 하는 경험에 압도되거나 그것을 회피하지 않고 직면하여 겪어내기를 요구한다. 나아가서는 적절한 거리를 취함으로써 외상 경험을 농담하듯 가지고 놀 수 있게 되기를 목표 한다. 참여자가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을 앓는 경우라면 그 원인이 된 정서적 외상 경험을 반복적으로 재현하면서 점차 자기 노출의 정도를 높여가는 방향으로 작업을 전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때 역할 연기 접근법은 참여자가 외상 경험을 딛고 넘어설 정서적 준비를 충분히 갖춘 후반부에 시도될 것이다. 또한 갈래, '내면 아이inner child'와의 만남. 어린 시절에 해결하지 못한 슬픔을 상징하는 역할. 스트레스 상황이 닥치면 겉은 멀쩡한 어른이면서도 속은 슬픔에 압도된 어린 아이로 가득 차서 미숙하고 부적응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 연극치료에서 내면 아이를 만난다는 것은 어린 아이 역할을 입고 과거의 결핍과 박탈을 충분히 애도하며 스스로 부모가 되어 내 속의 어린 아이를 돌보겠다는 다짐과 연습
<역할 연기 접근법의 기법>
1) 사실적 재연: 사건이 일어나는 시간과 공간을 구체화, 누가 어떤 역할을 맡을 것인지 정하며, 각각의 중요한 특징이나 이야기를 시작하고 끝맺는 지점을 비롯해 극화에 필요한 세부 사항을 점검한 다음 즉흥적으로 장면을 연기한다. 또한 관객이 보여주는 과정이 중요할 경우에는 해당 장면을 되풀이하여 연습하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약간의 투사적 변형을 시도하기도 한다. 텔러가 자기 경험에서 나온 이야기를 들려주면, 훈련된 배우와 악사가 소리와 움직임과 대화를 통해 그것을 극적 장면으로 재현하는 재생연극playback theater이 그같은 예다.
2) 극적 탐험을 위한 변형: 감정이입과 거리두기와 리허설, 세 방향으로 전개.
(1) 속마음 말하기: 심리극의 이중자아(doubling) 기법. "지나치게 조심스러운 참여자가 감정에 집중하여 좀 더 과감한 도전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랜디)
(2) 움직임과 대사 반복하기: 속마음 말하기와 움직임과 대사 반복하기는 주로 감정이입을 촉진하는 변형 기법.
(3) 역할 바꾸기: 갈등 장면에서 참여자가 자기 자신이 아닌 다른 역할이 되어 장면을 살아보게 하는 것. 문제에 대해 적절한 거리를 취하기
(4) 밖에서 바라보기: 참여자를 치료사가 장면 밖으로 나오게 해서, 장면의 진행을 지켜보게 하는 것. 역할 바꾸기와 밖에서 바라보기는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는 변형 기법.
(5) 지도 그리기: 목표로 하는 변화를 이끌어 내는 데는 네 거점이 필요하다: 현재의 역할, 원하는 역할, 거기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방해자, 장애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조력자. 하나의 변형 기법으로서 지도 그리기는 참여자가 어떻게 풀어나가야 할지 몰라 난감해하는 특정한 상황에 적용된다. 대개는 해당 장면을 재연한 다음 그 속에 있는 네 가지 역할(어쩔 줄 모르는 나, 되고 싶은 나, 그것을 방해하는 나, 그렇게 되도록 돕는 나)을 찾아 조각상으로 만들어 적절한 위치에 세운 뒤 간단한 움직임과 대사를 반복하면서 그 역동이 적절한지를 검증한다.
(6) 대안 찾기: 갈등이 고조되는 시점에서 장면의 진행을 중단하고, 관객에게 "만약 당신이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할 수 있겠습니까?" 가능한 대안을 무대로 나와 직접 주인공이 되어 실험해보게 하는 토론연극forum theater의 아이디어를 닮았다. 장면의 재연 - 가능한 대안을 장면 속에서 시도 - 몇 차례 반복, 적절한 행동 방식이 선택되면 - 그 역할을 다양한 장면에서 살면서 몸에 익히도록 한다.
<역할 연기 접근법의 특징>
1) 투사적 접근법의 특징
(1) 은유와 상징을 경유하는 우회성
(2) 몸의 언어
2) 역할 연기적 접근법의 특징
(1) 역할을 단위로 한 직접성
(2) 입의 언어
<역할연기 접근법의 활용>
1) 신뢰감과 자기 노출
2) 삶-드라마 연관
3) 몸과 입의 언어
<역할 연기 접근법 활용의 사례>
40대 초반. 여성.
남편. 두 딸.
우울증 약 복용, 심한 무기력감과 노화와 죽음에 대한 불안, 눈이 침침해지면서 어지럽고 숨이 가빠지는 증상.
중성적이고 차가워 보이는 외모, 투덜거리듯 말하는 버릇, 시간관념이 철저해 작업에 늦는 법이 없음
지방의 가난한 집안
둘째, 가부장적 가정. 인정투쟁 + 시어머니 모심 + 친정 어머니의 치매
작업 목표/형태
작업내용
회기 분석
<결론>
역할연기 접근법은 말과 언어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정서적으로는 감정 표출의 강도가 높은 편이나 직접적으로 자기가 드러나기 때문에 드라마에 담을 수 있는 정서의 폭과 깊이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연극치료사는 작업 기간, 참여자의 언어 능력, 비유 사용 능력, 집단의 신뢰도 혹은 참여자의 자의식 정도, 문제에 대한 밀착도 등을 두루 고려해야 함. 참여자의 언어 능력 또한 중요한 조건이다.
집단의 신뢰도는 참여자의 자기 노출과 정적 상관을 보인다. 참여자들이 서로 믿을수록 자기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드러내고 공유하는 데 서슴없어진다는 뜻이다.
문제에 대한 밀착도: 치료에서 다루는 문제는 참여자를 고통스럽게 하기 마련이다. 적절한 거리를 취하는 것이 치료 목표이기에, 문제로부터 분리된 참여자는 그 접근법에 상관없이 극적 재현을 통해 감정을 경험하는 것이 필요하다.
'06 critique d'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스 하케와 피에르 부르디외 대담(free exchange) (1995) (0) | 2021.06.02 |
---|---|
인격에서 '자아'(I, self)로의 문제 (0) | 2020.04.30 |
래디컨트_니꼴라 부리요_박정애 역_미진사 (0) | 2020.03.11 |
새로운 리얼리즘에 관하여_보리스 그로이스_이유니_2020 (0) | 2020.03.06 |
게임의 확장 증대된 가상현실 가능성과 한계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