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다중성(multiplicity)
안느마리 몰은 동맥경화증 민족지 연구에서 정신과 몸의 이분법을 넘는 다중적인 몸의 개념을 제안한 바 있다(Mol, 2002). 몰의 연구는 동맥경화증이라는 질병에 대한 여러 전문가 지식 사이의 경합 혹은 의학 지식 대 환자 경험의 대립을 다루고 있지 않다. 대신 이 연구가 민족지를 통해 보여주는 것은 동맥 경화증이라는 질병이 실험실, 진료실, 의대 강의실 등에서 다르게 실행되는 대상이라는 점이다. 동시에 이 질병은 양식이나 서류, 이미지, 증례 보고, 의사-환자 대화 등을 통하여 중첩되고 상호연결된 실천들 속에서 일관성을 갖고 있기도 하다.
몸의 다중성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저혈당 환자의 몸은 대사하는 몸(metabolic body), 관찰하는 몸(observing body), 그리고 대응하는 몸(counteracting body) 등 최소한 세 가지의 몸으로 실행된다. 예를 들어, 혈당이 떨어지는 증상을 느끼는 몸이 대사하는 몸, 측정 기구를 통해서 혈당 수치가 떨어지는 것을 보고 몸이 관찰하는 몸, 그리고 휴식을 취하거나 당분을 섭취함으로써 몸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애쓰는 몸이 대응하는 몸에 해당한다(Mol & Law, 2004). 이러한 다중적 몸 개념은 정신과 몸에서부터 시작하여 주체와 타자, 문화와 자연, 사회와 과학 등 거울상처럼 펼쳐지는 이분법의 사슬에 묶이지 않고 몸의 존재를 설명할 수 있게 해 준다.
DBPIA-NURIMEDIA
임소연 (2019). 과학기술과 여성 연구하기: 신유물론 페미니즘과 과학기술학의 안- 사이에서 ‘몸과 함께’. 과학기술학연구, 19(3), 169-202
'05 person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 (0) | 2021.06.04 |
---|---|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 1921-2012) (0) | 2020.04.22 |
멜라니 클라인 (Melanie Klein, 1882-1960) (0) | 2020.04.15 |
마리안느 베버(Marianne Weber, 1870-1954) (0) | 2020.04.15 |
J.L. Moreno (1889-1974) (0) | 2020.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