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9
자신의 바깥에서 읽을 것 9
정서로 이루어진 정치 13
정서, 관념, 인게니움 19
‘감정’이 아니라 정서—정념의 인간 호모 파시오날리스 19
정서와 ‘관념’ 24
어떤 관념이 누구를 변용하는가?—인게니움의 굴절 29
(하나이며 동일한 사물을) 설명한다는 것 혹은 이해한다는 것? 34
합리성의 정서 40
정치, 변용의 기술 43
변용의 기술로서의 정치…… 그리고 그 변수들 43
가난한 자에 대한 여론조사 혹은 정서측정 49
표상의 불안한 중재 54
물질적인 정서, 관념적인 정서(거짓된 이율배반에 종지부를 찍을 것) 59
누구에게 말하는 것인지를 알 것 63
관념에 능력을 부여할 것 69
기후변화를 형상화할 것 73
행동주의 혹은 인상의 전략들 75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할 것, 비전을 공유할 것 80
유사성에 의한 공감 84
결핍된 심상을 복원할 것 89
보도록 강제할 것 93
거북한 심상들을 감수할 것 98
추상작용의 정부 103
피통치자들을 통치자들처럼 사유하게 만들 것 107
정부 추상작용의 방화벽(절대로 보지 않기) 111
반란의 정념 117
절망스러운 결정론? 118
역사는 하나의 산물이다 125
혁명, 다른 일을 하려는 결정 128
권력, 대중의 능력을 포획하는 것 130
‘적법성’의 아포리아 134
제도의 정념적 불안 139
인게니움에 따라 변이되는 격분 147
반란의 정념적 역학 154
필연적이라 표상된 원인들의 장애물 159
공포의 비대칭 163
결정적 임계의 정념적 구축 167
불행을 선언할 것, 투쟁을 선언할 것 170
변환적 경험으로서의 반란 174
공통된 정서의 양가성 181
격분에 대한 환멸 188
제우스가 유기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 191
관용의 이동 194
구조들 안에 있는 정념과 코나투스: 역사의 동인 198
‘논리적 봉기’의 변용가능성 201
기괴한 관점과 보편적 관점 사이의 지적인 관점 205
‘지적인 표상’을 발전시킬 것 209
생생하게 표상할 것, 기호에 능력을 부여할 것 212
인게니움의 새로운 주름 216
발문: 이해, 설명, 변호 222
참고문헌 236
서문
자기 입장에서 변형하기란 매우 격려할 만한 활동이지만, 그 이전에 물론 자신의 고유한 방식들로부터 벗어나서 타인의 방식으로 들어가기 위한, 타인에게 있는 지성의 경제에 들어가기 위한, 다시 말하자면 스스로 자신의 기질 밖으로 나오기 위한 탈중심의 노력이 필요하다. 바로 그것이 자신의 바깥에서 읽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정치에 '정념passion'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행동과 사유에 관한 스피노자의 이론만이 우리가 이런 관점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사실, '정서로 이루어진 정치'란 말은 사물에 관한 스피노자의 견해를 완벽하게 중복 표현한 것에 불과하다. 즉 인간-사회적 세계의 절대적으로 모든 현상이 그러하듯이 정치 역시 본질적으로 정서라는 요소 안에서 성립된다.
정념이 구조주의는 폭동이나 반란, 혹은 더욱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제도적 형태들의 위기에 관해서 아주 소중한 통찰들을 제공한다.
정서, 관념, 인게니움
스피노자가 이야기하는 정서란 우리의 '감정'과는 완전히 다른 것이며, 한 가지 능력을 발휘하는 데 뒤따르는 효과를 이르는 가장 일반적인 명사다. 하나의 사물이 자신의 능력을 다른 사물을 향해 발휘하면 이 다른 사물은 변양된다.
인간은 코나투스다. 코나투스는 능력을 말한다. 그것은 활동의 충동으로서의 능력이다. 코나투스 '그 자체'는 순수한 노력이며, 그러하기에 총칭적이며 자동적이다.
코나투스에게 고유의 능력을 발휘함으로써 코나투스를 변용할 것이며, 그리하여 이것저것을 하려는 욕망으로서의 코나투스를 결정할 외부 사물들과의 만남에서 올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에게 정서의 첫 번째 정의를 알려준다. '우리가 본질을 그 자체의 어떤 변용 때문에 무언가를 하기로 결정된 것으로 생각하는 한, 욕망은 인간의 본질 그 자체다'. 보통 말하는 코나투스는 유예 중인, 다시 말해 구체화되기를, 타동적으로 되기를 기다리는 총칭적 충동과 같다.
하나의 정서는 필연적으로 관념들을 산출하는데, 육체에서 입증된 관념으로부터 시작한다. '정서란, 육체의 행동 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며,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육체의 변용인 동시에 그러하 변용의 관념이라고 나는 이해한다'. 개인은 자기 기질의 습관을 따라 그 관념들을 자발적으로 연결하고 '따라서 각자는 사물의 심상을 결합하고 연결하는 데 익숙해진 자기 습관의 방식을 따라 하나의 사유에서 다른 사유로 옮겨 갈 것이다.' 코나투스는 정신의 사유 능력에서만큼 육체의 행동 능력에서도 굴절된다.
자발적 재현과 달리, 표상은 엄밀한 의미에서 고유한 심적 활동이 아니라, 육체의 한 가지 성향이다. 물론 사물의 심상이 우리에게 올 때는 반드시 심상의 심적 상관물인 관념을 동반한다.
우리가 '관념'이라 부르는 것이 우리로 하여금 그 비슷한 것을 하도록 만든다면, 그건 관념이 오로지 순수하게 관념적인 내용으로 우리에게 도달한 것이 아니라, 정서가 동반된 것이다. 그런데 하나의 관념이 '우리를 엄습한다'라고 말할 때는 바로 심상이 우리에게 적중하여 우리가 어떠한 방식으로 움직이도록 결정하는 필연성을 방출한 것이다. 그러한 엄습은 정념적이다.
하나의 사물은 오직 변용 가능한 기질을 만나는 조건에서만 변용하는 능력을 갖는다. 스피노자는 우리의 변용가능성 전체를 '인게니움'이라는 이름 아래 요약한다. 사람들의 인게니움ingenium(상상에 기초한, 혹은 상상의 도움을 받는 지적 사유)은 제각기 다르며 각 사람의 인게니움 역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진다. 인게니움은 무엇이 나를 어떻게 변용하는지 알고자 하는 물음에 대한 여러 가지 답을 종합하여 제시한다. 인게니움에는 정치적인 부분이 있다. 우리가 지닌 방식들을 요약하면서 우리의 판단 방식 또한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며, 정치는 영구적인 판단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인게니움은 그 자체의 고유한 무게를 각각의 것들에게 실어주면서 모든 것들을 종합한다. 무엇이 공통된 주름들과 특수한 주름들을 가져왔는지 우리는 알지만, 늘 사후에야 알게 된다. 이와 같이 정치적 인게니움은 여러 변용가능성과 여러 방식이 복합되어 형성된다. 이들 각자에 대해서 무엇이 그를 전율하게 하는지, 그리고 그가 거기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즉 그가 어떤 욕망과 어떤 운동을 뒤따르는지, 또한 어떤 관념을 따르는지를 말해준다. 이럻듯 정치적 인게니움은 자신의 자동연결기제의 경향을 따른다.
'의힛화된다'는 것은 정치적으로 잡아당겨진, 즉 이러저러한 정치적 변용에 따라 튀어오를 수 있는, 육체의 용수철 같은 반응성 동력을 배치하는 것이다. '의식화'란 합체된 정치다.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계이론 입문_니클라스 루만_윤재왕 역_새물결_2014 (0) | 2020.03.03 |
---|---|
진실의 색_히토 슈타이얼_안규철 역_워크룸프레스_2019 (0) | 2020.03.01 |
마크 피셔_이여로 역_뱀파이어 성에서 탈출하기 (0) | 2020.02.26 |
혁명과 모더니즘_이장욱_시간의흐름_2019 (0) | 2020.02.21 |
"새로운" 무의식 - 정신분석에서 뇌과학으로_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_김명남 역_까치_2012 (0) | 2020.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