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서문
1부 개념
1장 의료화의 배경, 특성, 변화
2부 사례들
2장 대머리는 어떻게 남자의 병이 되었나
3장 성격에서 질병으로
4장 더 크게, 더 젊게, 더 빠르게
5장 질병에서 지향으로
3부 한계와 결과
6장 의료화의 측정과 분류
7장 의료화를 이끄는 주체들
8장 의료화의 사회적 결과들
감사의 말
옮긴이 후기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1부 개념
1장 의료화의 배경, 특성, 변화
지난 30여 년 간, 의학계는 훗날 흔한 질환이나 장애로 널리 알려지게 될 여러 문제들을 발견해 냈다. 이 책에서는 오늘날 의학적 진단과 치료의 대상이 되는 행동, 정신 상태 혹은 신체 조건과 관련이 있는 질환이나 "증후군"들을 다루어보고자 한다. 분명히 의학적으로 정의된 삶의 문제들은 엄청나게 늘어났다. 의사의 수는 거의 두 배 가까이 늘었고, 그에 따라 의료 역량도 크게 확장됐다.
의료화medicalization는 비의학적 문제가 질병이나 질환과 같은 의학적 문제로 정의되고 치료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의료화와 사회통제에 관한 주제들을 다루어 보고자 한다.
의료화의 특성
초기 연구들은 일탈의 의료화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지만, ... 질병의 상업화 라는 주제를 다룬 것이 특히 눈에 띄었다. ...질병 범주가 확대되고 ㅎ의료화가 촉진되는 현상을 집중적으로 다룸...
의료화의 핵심은 정의다. 즉, 의료화는 어떤 문제가 의학적 용어로 정의되고, 의학적 언어를 사용해 서술되며, 의학적 틀을 적용해 이해되거나, 의학의 개입을 통해 "치료"되는 것이다.
이반 일리치는 기억하기는 좋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는 "의료 제국주의"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한때는 부도덕, 죄악 혹은 범죄로 정의되던 행동들에 의학적 의미가 부여되면서 '나쁜' 것에서 '아픈'것이 되기도 했다. 또한 불안, 감정 기복, 월경, 피임, 불임, 출산, 갱년기, 노화, 죽음처럼 삶의 일상적인 과정으로 여겨지던 일들도 의료화되고 있다.
바스키와 버로스가 지적하듯, 사람들이 가벼운 증상들에 대해 무심히 지나치는 일이 줄면서 "불편한 몸 상태나 단발적 증상들이 질병으로 재분류되고 신체 고통의 의료화가 진전되는" 데 박차를 가했다. 사회운동 세력과 환자 단체, 그리고 각 환자들 역시 의료화의 중요한 지지자들이었다. 최근 몇년 사이에는 제약 회사 등의 기업들과 소비자가 될 수 있는 잠재적 환자들이 의료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요인들이 의료화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모르지만, 의학계의 지원과 새로운 병인의 발견, 치료에 대한 접근성과 수익성, 의료보험 적용 여부, 그리고 의학적 정의를 옹호하거나 이에 도전하는 개인 및 단체의 존재 등이 어떤 사례들에서는 모두 중요하게 적용할 수 있다. 진단 기준의 확대..
나는 여전히 "사회를 통제하는 가장 강력한 힘은 행동, 사람, 사물을 정의할 수 있는 권위를 가질 수 있는 것에서 비롯된다"라는 주장을 지지한다.
의료화의 발흥
의료화가 일어나게 된 배경으로, 종교의 약화, 과학과 합리성, 진보에 대한 굳건한 믿음, 의료인들이 누리는 명망과 그들이 행사하는 힘의 증가, 문제에 대한 개인주의적이고 기술적인 해법에 대한 미국인들의 선호, 그리고 서구 사회 전반에 나타난 인도주의적 경향 등..
도덕집단이나 전문가들의 지배
푸코는 그의 초기작 중 하나인 <임상의학의 탄생>에서 의료화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했다. "이 두가지 꿈(즉, 국가 의사들이라는 신화와 질병의 박멸이라는 신화)은 동형적이다. 하나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표현되는, 엄격하고, 전투적이며, 교조적인 사회의 의료화로, (의학의) 유사-종교적 개조와 치료 성직자의 설립에 의거한다. 다른 하나는 동일한 의료화를 표현하는 것이지만, 승리주의적이고, 부정적인 방식, 다시 말해, 환경을 바로잡고, 조직하며, 끊임없이 감시해 사회 속에서 질병의 씨를 말려버리는 것이다. 그렇게 하면, 의학은 그 자체로 그것의 대상 및 존재 이유와 함께 사라질 것이다"
대중이 의학적, 치료적 관점을 자신의 주체성 안으로 어떻게 내면화하는가에 초점.
아델 클라크와 그의 동료들은 논문을 통해 의료화를 "생의료화"biomedicalization로 재개념화하는 야심 찬 시도를 한다. 그들은 생의료화를 "새롭게 등장하는 사회형태와 고도로 과학기술화된 생의학을 통해, 오늘날 재구성되고 있는 의료화의 복잡하고, 다면적이며, 다각적인 과정들"로 설명했다.
의학의 변화
의학의 권위는 떨어졌고, 건강 정책이 접근성에서 비용 관리로 방향을 틀면서 관리 의료가 핵심이 되었다. 도널드 라이트가 지적했듯, 구매자, 공급자, 지불자 사이의 길항력이 전문가들 및 여타 사회제도들 사이에 존재하던 영향력의 균형에 변화를 초래했다. - 구매자가 주도하는 체계가 등장했다.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장이 된 정신분석학을 분석하시오_질들뢰즈_이여로 역 (0) | 2020.06.02 |
---|---|
늙어감에 대하여_장 아메리_김희상 역_돌베개_2014 (0) | 2020.05.19 |
저자로서의 인류학자, 클리퍼드 기어츠, 김병화 역, 문학동네, 2014 (0) | 2020.04.29 |
사회학적 파상력, 김홍중, 문학동네, 2016 (0) | 2020.04.28 |
마음의 생태학, 그레고리 베이트슨, 박대식 역, 책세상, 2000:2006 (0) | 2020.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