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05 personne

Karl Marx (1)

by jemandniemand 2020. 2. 10.

카를 마르크스
예니 폰 베스트팔렌
프리드리히 엥겔스

 

1818.5.5. 마르크스 출생

1835. "직업선택을 앞둔 한 젊은이의 성찰"

1841. 박사학위 논문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의 자연철학의 차이"

1842. "최근의 프로이센 검열훈령에 대한 논평"

1842. "라인신문" 편집장

1843. 6월 결혼. 크로이츠나흐로 이사. "크로이츠나흐 노트" - 헤겔 법철학 비판 원고

1843. 10월 파리로 감. "헤겔 법철학 비판 서설" "파리 노트"(주로 경제학과 프랑스 사회주의)

1843. 엥겔스 "국민경제학 비판 개요"

1844. "경제학-철학 원고" ('파리 원고')

1844. 11월 "신성가족"

1845. 2월 프로이센의 압력으로, 비판적인 논조를 지닌 "전진"의 주요 기고자였던 마르크스가 파리에서 추방당함. 브뤼셀로 이주.

1845. 4월 엥겔스도 마르크스를 따라 브뤼셀로 이사. "포이어바흐에 관한 테제" 작성

1845. 5월 "영국 노동자 계급의 상태" 출판

1845. 9월 둘째 딸 라우라가 태어남(첫째 딸 예니는 44년 1월)

1845. 11월 "독일 이데올로기" 집필 시작 (이 때 헤스와 결별함. 헤스는 원래 이 책의 일부를 집필할 예정이었음)

1846. 4월 "독일 이데올로기" 집필이 대강 완료. 그러나 출판에는 실패("우리는 우리의 주된 목표(자기정화)를 이미 달성했기 때문에 아무런 거리낌 없이 생쥐들이 그 원고를 비판하면서 실컷 갉아먹도록 내버려두었다.",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1분책'의 서문)

1846. 12월 아들 에드가가 태어남

1847. 유럽의 경제위기와 곡물 흉작. 기근 폭동이 일어남

1847. 2월초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의인동맹'에 가입하기로 약속함

1847. 6월 국제공산주의자 대회. '의인동맹'의 이름을 '공산주의자 동맹'으로 바꿈

1847. 7월 "철학의 빈곤"

1847. 8월말 브뤼셀에서 독일노동자협회가 결성됨

1847. 11월 국제적 민주주의자들의 연합체인 '브뤼셀민주주의협회' 설립

1847. 12월 "공산주의의 원칙들", "공산주의자동맹 규약", "임금노동과 자본"

1848. 2월 "공산주의 선언"

1848. 2월 프랑스에서 혁명 - 루이 필립을 축출함. 공화국 선포

1848. 3월 독일에서 혁명

1848. 4월초 마르크스와 엥겔스. 혁명에 참여하기 위해 독일로 출발

1848. 6월 "신라인신문-민주주의의 기관지" 창관호 발행 - 전체독일민주주의 회의

1849. 4월 "임금노동과 자본" 신문 연재

1849. 5월 정부당국의 "호의를 무차별 남용한" 마르크스에 대한 추방 명령이 떨어짐

1849. 5월 "신라인 신문" 폐간. 혁명의 지지를 얻기 위해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바덴, 팔츠로 떠돌던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혁명에 대한 정치인들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함. 빙겐에 도착하여, 마르크스는 '민주주의자협회'의 중앙위원회 위임을 받아 파리로 떠나고 엥겔스는 전투에 참전해서 네 차례 전투에 참전함. 

1849. 6월초 마르크스 파리 도착. 혁명 세력과의 조우

1849. 8월 마르크스에 대한 추방 명령. 스위스 입국 여권을 얻지 못함. 영국으로 떠남. 이후 모든 혁명이 진압당함. 

1850. "신라인신문.정치경제평론" 창간호. '동맹'의 재건 시도. 빌리히 및 샤퍼와의 논쟁(동맹은 재건되지 않음)

1850. 여름 이후, 마르크스는 대영박물관 열람실에서 연구에 몰두함. 

1857-58. 임박한 공황에 자극을 받아 경제학 연구에 박차를 가함('나는 엄청나게. 보통 새벽 4시까지 일하고 있다네. 나는 두 가지 과제에 몰두하고 있다네. 즉 1) 경제학 [비판]의 개요를 완성하는 것.... 2) 현재의 공황에 대해 작업하는 것. ... 독일의 독자들에게 우리는 아직 그대로 있다네.') 그 결과가 바로 "1857-1858년 원고" (일명 "경제학 비판 개요") 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헤겔의 "대논리학"을 다시 읽음

1859. "1857-1858년 원고"의 '화폐'장을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분책으로 출판함. 프루동주의를 비판하는 데 결정적이라고 생각하여 상품, 특히 가치형태에 대한 분석을 추가함. 엥겔스가 마르크스의 방법을 역사주의로 특징짓는 서평을 발표함. 

1860. 공산주의자동맹에 대한 포크트의 모략을 폭로하는 팜플렛 "포크트 씨"를 출판함

1861-63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1분책에 이어 "자본"의 진정한 원고인 "1861-63년 원고"를 집필함

1863. 라살이 독일노동자총연맹을 창설함

1863-65. "자본"의 인쇄용 원고인 "1863-65년 원고" 집필.

1864. 런던에서 국제노동자연합. 약칭 인터내셔널 창립을 주도하고 총평의회 의장을 맡음. 창립대회 연설에서 '자본의 경제학'과 '노동의 경제학'을 비교함. 인터내셔널 초기부터 마르크스는 프루동주의. 바쿠닌주의 같은 아나키즘과의 내부 투쟁에 진력함

1865. 인터내셔널 총평의회에서 한 "자본"에 대한 강의 원고를 "임금, 가격, 이윤"으로 출판함. 오언주의자 웨스턴이 주장하는 임금투쟁 무효론을 반박하는 동시에 임금투쟁의 한계를 지적하는 이 팜플렛에서 "자본" 3권 마지막 52장 '계급'에서 분석할 예정인 노자간 계급투쟁의 개요를 제시함. 

1866-67. "1863-65년 원고"를 가필 및 수정하여 "자본" 1권을 집필함

1867. 2권의 새로운 원고들(특히 엥겔스가 이용한 가장 완성된 원고인 '원고II')을 집필하면서 동시에 "자본" 3권 원고를 가필, 수정함. 

1871. 파리 고뮌. "프랑스 내전" 집필. "프랑스 내전"의 출판을 계기로 인터내셔널의 분열이 일어남

1875. 고타강령. "고타강령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