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엔나 공원에서, 1911년 무렵
나무 등걸에 걸터 앉아 있는 청년 모레노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며 앉아서 그의 동화를 듣고 있는 아이들, 그 아이들 머리 위로 끝없이 펼쳐진 푸른 하늘, 마치 동화 속에 모두가 빨려 들어가는 것만 같은, 아니 현실을 벗어나 동화세계에 들어온 것만 같은 착각, 환상의 시간과 공간..." (최헌진, <사이코드라마>, 학지사, 2003)
1874. 로마니아 출생. 유태인 상인 가정에서 자람.
1895. 오스트리아 비엔나로 이동. 비엔나 대학에서 약학, 수학, 철학을 공부.
1905. 즉흥극단 <Stegreiftheater> 운영. 사이코테라피(사이코드라마)를 정립. 안전한 공간에서 상상의 시공간과 마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 문제에 정면으로 맞설 수 있도록 격려.
1912. 프로이트와 조우. 그의 자서전에서 "나는 프로이트의 강의를 들은 적이 있다. 그는 막 텔레파시telepathic 꿈(꿈-사고)에 대한 분석을 마친 참이었다. 당시 학생이었던 나는 그에게 "당신은 인공적인 실험실에서만 사람들을 만납니다. 나와 같은 보통의 사람들은 가정에서, 거리에서, 일상적인 환경에서 사람들을 만나지요. 당신이 그들의 꿈을 분석하는 동안, 나는 그들이 다시 꿈을 꿀 수 있도록 격려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그것들을 분석함으로써 그것들을 찢고 분해해버리지만, 나는 그들이 조각난 꿈들을 다시 재배치할 수 있도록 돕고 싶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1913-14. 그룹 사이코테라피 작업 본격화.
1917. 약학 교수 및 의사로 재직(Doctor of Medicine) 프로이트 이론을 거부하였고, 치유적 실천을 위한 집단 작업에 관심을 갖기 시작.
1925. 미국 뉴욕으로 이동. 상호관계(interpersonal relations) 이론화 작업. 사이코드라마/소시오메트리/그룹 사이코테라피/소셜드라마/소시아트리 모델을 개발함. [1]
1929. 카네기 홀에 즉흥극 극장을 설립, 이후 길드 씨어터(Guild Theater)에 재직.
1931. Sing Sing Prison에서 소시오메트리를 연구함.
1932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 그룹 사이코테라피를 소개함. 헬렌 홀 제닝스와 <Group Method and Group Psychotherapy> 공저. - 기회 소시오그램(chance sociogram)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 Erdos Renyi model 과 아나톨 라포포르(Anatol Rapoport)의 선구자.
1936. 비컨힐 요양원을 설립. 바로 인근에 치유극 극장 설립
1926. 베아트리스 비처와 결혼. (~1938 이혼)
1938. 플로렌스 브릿지와 재혼. (~1948 이혼)
1939. 딸 레지나 모레노 출생
1949. 체르카 토이만과 재혼.
1952. 아들 조나단 모레노 출생
1974. 뉴욕에서 84세로 사망.
기타.
Invitations to an Encounter, 1914 - 만남Encounter의 이론 - 후에 마르틴 부버(Martin Buber)에 의해 발전
SNA(Social Network Analysis)의 창시자로 불림
Who Shall Survive?, 1934 에는 소셜 네트워크에서 쓰이는 소시오그램의 몇가지 모델들이 소개되고 있다.
[1] The New York Times(1974) wrote "He found that acceptance of his theories was slow, particularly because some colleagues deplored his showmanship."
'05 person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느마리 몰(Annemarie Moll) (0) | 2020.07.28 |
---|---|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 1921-2012) (0) | 2020.04.22 |
멜라니 클라인 (Melanie Klein, 1882-1960) (0) | 2020.04.15 |
마리안느 베버(Marianne Weber, 1870-1954) (0) | 2020.04.15 |
Karl Marx (1) (0) | 202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