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1장은 치료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객체들이 어떠한 양상의 사회적 관계를 내포하는가를 밝히며, 그러한 관계들이 어떻게 시장이라는 질서를 통해 재생산되고 유통되는지를 들여다본다.
치료를 구성하는 객체
임상심리상담사
정신과 의사
약사
병동 간호사
DSM III (1980)
생물학적, 의학적 모델 기반. 약물 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토대로 표적 증상군을 탐지, 평정자 간의 일치도를 높이는 데 집중. 각 장애의 독립성 전제.
DSM IV (1994)
치료에 대한 반응성에 기초해 증상군을 범주화하는 진단 분류 방식에 문제가 있으며 각 장애가 독립적이라는 가정 역시 여러 장애의 높은 공병율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점을 들어, IV에서는 모든 장애 범주에 대해 해당 증상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고통을 초래하거나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를 정신 병리의 진단 기준으로 삼았다. 증상의 현상학적 측면에 초점을 맞춤. 몇 가지 이상의 증상을 공통적으로 보일 경우 특정 장애로 진단함.
DSM V (2013)
통합, 생애 전반의 발달적 주제들을 진단에 포함시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
신경발달장애, 조현병스펙트럼, 양극성 및 관련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해리 장애(Dissociative Disorder), 신체 증상 및 관련 장애, 급식 및 식이 장애, 배설 장애, 수면-각성 장애, 성 기능 부전, 성 불쾌감증,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 장애, 물질관련 및 중독성 장애, 신경인지 장애(알츠하이머), 성격 장애, 변태 성욕 장애, 기타 정신 장애, 약물 역효과, 등
성인 환자
어린이 환자 ~ 오은영 박사
신체화(Somatization): 불안장애, 거식증, 공황장애(가슴답답, 식은땀, 심장이 터지는 것 같은 증세가 발작적으로 일어나 곧 죽게될지 모른다는 공포심),
감정: 우울, 분노, 스트레스
사회적 관계
장성사고 후유증 광부 (1978년)
교육수준 낮은 자들에게서 우울증이 잦게 나타남( 남자는 고졸, 여자는 국졸이 많았다) (1978년)
시장 및 국가 질서
새로마련될 향정신성의약품관리법의 규제를 받게 될 새로운 약품은 항정신성약물, 항우울제, 정신자극제, 항불안제등 주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끼치는 약물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의약물은 종합병원 상용약품의 20% 이상을차지하고 있고 그 종류는 1천개이상이며... (1979년)
재생산 및 유통
cf. <문학 천재 진단하기> 러시아의 대문호에 대한 정신의학자들의 변화하는 진단을 기술. 러시아 작가의 정신병리에 관한 전기적 기록, 이른바 병적학을 전략적으로 이용했다.
이리나 시롯키나(Irina Sirotkina) The Sixth Sense of the Avant-Garde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퍼포먼스 퍼포먼스_다이애나 테일러 (0) | 2022.01.05 |
---|---|
The Sixth Sense of the Avant-Garde_ Irina Sirotkina (0) | 2022.01.05 |
0805 흡혈귀로서 자본 (0) | 2021.08.05 |
기억의조립 (0) | 2021.06.16 |
질병 관리의 사회문화사: 일상생활에서 국가정책까지_최해별 외_이화여대출판문화원_2021 (0) | 2021.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