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예술가와 광인의 차이점은 하나뿐이다. 퍼포먼스 예술가에게는 관객이 있고 광인에게는 관객이 없다.
이 책은 권력 체계와 퍼포먼스의 복잡한 관계를 다루고 있다.
퍼포먼스는 모든 영역을 가로지르는 다양한 사회적 행위이다. 퍼포먼스는 '마치 ~ 인 것처럼'과 '~이다' 사이에서, '~인 척'하는 것과 '실제'의 새로운 구축 사이에서 움직인다.
우리는 퍼포먼스를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실연, 실행, 개입, 소모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 것은 또한 사물이자 상품, 완수된 어떤 것이다. 이때 퍼포먼스는 행위가 발생한 시점과는 다른 시공간으로 소환되어 평가받는다.
퍼포먼스는 지정된 시간과 공간 안에서 발생한다. 축구는 프레임 안에서 이루어진다. 지정된 경기장에서 시작과 끝이 있다. 또 규칙과 그것을 강제하는 심판이 있다. 정치 시위 또한 마찬가지다. 시작과 끝이 있는 동시에 다른 문화적 행위와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다시 말해, 퍼포먼스는 의미와 관습으로 이루어진다. 시위에서의 행진은 거리를 걷는 보통의 걸음과는 분명 다르다.
퍼포먼스는 "두 번 행해진 행위이다"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칙, 이론, 그리고 원리: 규범적 의미와 실제사용에서의 혼란 (정용욱, 2014) (0) | 2022.01.14 |
---|---|
거기엔_김범(2007) (0) | 2022.01.06 |
The Sixth Sense of the Avant-Garde_ Irina Sirotkina (0) | 2022.01.05 |
2021.01.05 (0) | 2022.01.05 |
0805 흡혈귀로서 자본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