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아이디어들이 복합적으로 구조화된 지식체계.
'법칙'이란 자연현상의 기본이 되는 규칙의 발견이 쌓여서 완성된 것.
'원리'는 여러 개념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 한 것으로 몇 가지 사례에 기초한 귀납적 일반화로 출발하지만, 제한된 관찰을 넘은 보편적 진술이라는 점에서 경험적이라기보다는 분석적이다.
'이론'은 관찰할 수 없는 속성에 관한 법칙, 설명력을 지닌 법칙 또는 가설의 통합적 체계, 학문적 영역 등을 지칭한다.
~ 사실의 원인, 개념의 속성, 법칙의 원리 등을 제시함.
이론과 관찰 사이의 구분이 중요하다고 지적.
모형의 본성, 관찰의 이론의존성, 그리고 가설, 이론과 법칙의 구분을 평가
이론을 높은 정도로 확신하는 설명explanation으로, 법칙을 높은 수준으로 확신되는 일반적 기술description으로 규정하였다.
관찰observation과 추론inference의 구분.
과학적 이론은 잘 정립된 설명체계로 종종 관찰 불가능한 객체나 공리를 바탕으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법칙이 관측 가능한 현상 사이의 기술적 진술인 반면, 이론은 관측된 현상과 규칙성을 설명하는 추론이다. 또한 이론은 직접적으로 검증되는 대신에 이론으로부터 도출되는 검증 가능한 예측의 경험적 적합성을 판단하는 방식으로 검증된다.
가설이 증거에 의해 이론이 되고, 이론이 증거에 의해 법칙이 된다고 보는 위계적 견해를 극복해야 할 신화로 보았다.
법칙은 자연 속의 패턴, 원리, 혹은 일반화이며, 이론은 이러한 일반화에 대한 설명.
용어에 대한 적절한 이해의 부재.
범주용어의 혼선은 과학자들의 관습적 언어 사용의 문제 때문. 범주 용어의 구분은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각각의 지식요소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위상은 무엇인가라는 보다 일반적인 과학철학의 주요 문제와 관련된다
Campbell은 인간은 겉보기에 무관한 여러 관찰들을 몇 개의 원리들의 특수한 사례로 바구어서 경험에 질서를 부여한다고 보았다. 과거 경험에 질서를 부여하는 것이 법칙들! 법칙은 인간의 경험에 질서를 부여함으로써, 즉 경험을 일반적인 원리의 특수 사례로 만듦으로써 특정한 경험을 설명한다.
법칙은 이론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강조했다. ~ 이론의 두 요소: 진리성 여부를 경험적으로 확증할 수 없는 진술들의 집합인 이론의 '가설(hyperthesis)', 가설과 경험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진술인 '사전적 정의(dictionary)'
법칙의 두 가지 구분: 실험법칙(experimental law)과 이론법칙(theoretical law)
이론을 구성하는 세 요소로는 형식체계(설명 체계의 논리적 틀로서 그 체계의 기본개념을 암묵적으로 정의함), 대응규칙(형식체계를 관찰 및 실험 자료와 연결시켜 형식에 경험적인 내용을 부여하는 일련의 규칙), 해석(혹은 모형. 다소 익숙한 개념적, 시각적 자료로써 형식 구조에 살을 붙여줌).
내부원리는 이론이 설명하려는 현상의 바탕이 된다고 가정되는 대상과 과정, 그리고 이 대상과 과정이 가지는 법칙에 대한 진술이다. 반면, 교량원리는 이론이 묘사하는 근본적 대상이나 과정의 설명을 요구하는 경험적 현상과 연관시키는 진술이다.
과학자들은 사물과 그것들의 상호작용을 기술하고 분류할 뿐 아니라, 존재하는 사물이 왜 존재하고 왜 그렇게 변화하는가를 설명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과정에서 과학자들은 상상력을 동원하여 이론을 만들어낸다. 과학적 설명은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을 제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어떻게 해서 당면한 조건에서 현상이 발생했는가를 제시해야 한다.
법칙은 어떤 조건에서 현상들에서 추출되는 규칙성의 기술description과 관련 ~ 원리란 어떤 이론의 핵심keystone을 이루는 아이디어. 과학에서 이론을 구성하는 틀을 이루는 핵심 요소.
일단 생성된 지식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검증하는 과정도 지식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과학집단은 법칙, 이론, 원리 등의 용어를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하며, 이 용어들이 관습적인 언어표현 속에서 일관된 의미를 갖지도 않는다.
'01 tex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의 관찰들_니클라스 루만_김건우역 (0) | 2022.02.03 |
---|---|
거기엔_김범(2007) (0) | 2022.01.06 |
퍼포먼스 퍼포먼스_다이애나 테일러 (0) | 2022.01.05 |
The Sixth Sense of the Avant-Garde_ Irina Sirotkina (0) | 2022.01.05 |
2021.01.05 (0) | 2022.01.05 |